2024/11 3

PM의 정의

Product Manager란 무엇일까? 많은 정의가 있겠지만, 나는 회사마다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한다. 마치 카멜레온이 나뭇잎에 따라 피부 색을 바꾸듯 PM은 회사에 따라 색이 바뀌는 것 같다.  그렇다면 내가 일하고 있는 회사의 PM은 어떤가?  아직 명확한 정의는 못내렸지만, 지금까지 겪은 시행착오를 보면 다음과 같다.  - 고객사와 접점이 있는 사업 총괄팀을 지원한다. -- 고객사와의 미팅 때 문제 없도록 제품 테스트 --> 사업 총괄팀과 개발팀과 미팅을 통해 구현 범위 설정 필요 -- 고객사가 요청하는 문서에 대응 지원(사용자 메뉴얼, 제품 소개서 등)  -- 사업 총괄팀에서 가져오는 VoC를 기획하여 개발팀에 전달한다.  -- PoC를 지원한다.  - 제품 출시를 위해 준비한다.  --..

SW 테스팅 교육 2일차

SW테스팅 교육 2일차1. 정적 테스팅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모든 작업 산출물은 리뷰 대상이 될 수 있음.정적 분석은 테스트 케이스가 필요없고,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으로 동적 테스팅 전에 문제를 식별할 수 있으며 지속적 통합 프레임워크에 통합하는 경우가 많다.가치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초기 단계에서 결함을 식별하기 때문에 조기 테스팅 원리를 지킬 수 있다.리뷰를 구축하는 비용은 클 수 있지만, 프로젝트 후반에 결함을 수정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어 리뷰를 수행하지 않을 때보다 전체 프로젝트 비용이 훨씬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정적 테스팅으로 식별하기 쉬운 결함요구사항 결함설계 결함코딩 결함표준 위반잘못된 이터페이스 명세특정 유형의 보안 취약성테스트 베이시스 커버리지의 ..

개발/STUDY 2024.11.08

SW 테스팅 교육 1일차

SW 테스팅 교육 1일차1.   SW테스팅이란?•          SW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회사나 개인이 현실에 구현•          Testing 이란 문제를 찾거나 품질을 측정하는 일련의 활동구현을 할 때 결함이 발생 할 수도, 운용을 할 때 장애가 발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것이 고객과 회사에 유, 무형의 문제를 가져오고, 이러한 것을 Risk 라고 한다.이러한 일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또는 발생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문제를 확인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을 테스팅이라 한다.즉, SW Testing은 우리 고객이 원하는 그 무언가를 만들었을 떄, 고객을 만족시키고,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이다.-      테스팅은 누가하는가? 제품 개발에 관련된 모든 이해 ..

개발/STUDY 2024.11.06